나이가 들어 깜빡깜빡하신다고요!
혹시 내가 초기 치매가 아닐까 걱정이 되어 미리 검사받을 수 있을지 고민일 때 방문하시면 됩니다.
대한민국 만 60세 국민이라면 관심 가져야 할 필수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치매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으며, 검사비 지원은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치매안심센터
전국에 있는 보건소에서는 256개 모든 치매안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치매의 조기발견 및 예방을 위해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치매선별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선별검사 결과 '인지저하' 또는 '정상'이나 치매 의심증상이 뚜렷하여 진단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이 나오면 치매진단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치매검사비 지원
병원에서 치매진단이나 감별검사가 필요한 분을 위한 정보입니다.
1. 지원대상
만 60세 이상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되며 장애인의료비 지원대상자는 검진비 지원이 제외됩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직접 진단검사를 실시할 경우 소득 관계없이 무료검사가 가능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2. 서비스내용
진단검사는 1인당 15만 원까지이며, 감별검사는 의원, 병원, 종합병원8만 원 이하, 상급종합병원은11만원 이하입니다. (비급여제외, 급여항목 본인부담비용내실비 한정) 1회 지급원칙이지만 검사결과와 소득 등을 고려하여 추가지원도 가능합니다.
3. 신청방법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검사비를 지원합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희망지역 치매안심센터에서도 이용가능합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서비스 신청 접수 -> 조사 및 심사 -> 대상자 확정 -> 서비스 지급 -> 사후관리
▶ 치매검사비지원신청서 양식 ↓↓↓
3. 물품지원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재가' 치매환자의 경우 환자 상태에 따라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한 조호물품을 무상공급하고 있습니다. 지원품목에는 인지강화/ 인지재활용품, 미끄럼방지 용품(매트 및 양말, 테이프), 약달력 및 약보관함, 보호대(고관절, 무릎, 허리), 기저귀, 요실금팬티, 물티슈, 위생매트, 방수매트, 식사용 에이프런, 욕창예방용품(쿠션, 방석, 크림), 노린스샴푸, 간이변기 총 13 품목 내에서 지자체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제공합니다.
4. 약제비 지원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만 60세 이상으로 치매안심센터에 등록, 의료기간에서 치매진단받고 약처방 받은 자는 월 3만 원 (연 36만 원) 치매 치료관리비 신청을 통해 지원이 가능합니다.
▣ 치매안심센터를 찾는 방법
우선 우리 집 근처의 치매 안심센터를 찾아볼까요?
전국 보건소 찾기
https://www.hira.or.kr/main.do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
건강지도가 나오면
주소 설정해 준 다음
병원, 약국 종류별 찾기 → 보건기관 → 전체선택 → 검색
더 궁금하신 사항은 보건복지상담센터 (국번 없이 129)로 문의하세요.
치매상담콜센터 1800-9988
보건복지부 https://www.129.go.kr
치매상담콜센터 https://www.nid.or.kr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달주기 윤달에 생일이라고? 평달 윤달 계산과 윤달풍속 알아보자 (0) | 2023.03.28 |
---|---|
만우절 알고 재밌고 유쾌하게 보내볼까 (0) | 2023.03.25 |
진정한 휴식과 쉼, 수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13 |
당신이 쓰는 말은 바로 당신 자신이다 (0) | 2023.03.10 |
부자되는 주문으로 노래가사를 만들어봄 (0) | 2023.03.09 |
댓글0